유량은 "유체"의 "양"이다
유량을 Q라고 한다면
Q = A X V = (유적) X (유속) = (㎡) X (m/s) = ㎥/s
쉽게 생각해보면
1초에 물이 얼마나 많이 흘렀냐가 유량이다
1초에 물이 10톤이 지나갔다면 유량은 10㎥/s이 되는 것이다.(물의 단위중량에 의해 물1톤은 1세제곱미터 이므로)
'토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사기간 산정기준 (0) | 2020.10.24 |
---|---|
공사 감독일지, 공사 작업일지 (0) | 2020.10.23 |
물의 단위중량 (0) | 2020.10.17 |
건설사업관리기술자 임금실태조사 (0) | 2020.10.15 |
착공계 (0) | 2020.10.11 |